왜 기독교 신앙을 소유한 사람들은 그분의 십자가 죽음에 관심을 둡니까? 그것은 바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죽으심이 곧 세상을 위한 기독교의 본질적 복음이라 일컬어지기 때문입니다. 특히 그 복음이라 함은 십자가의 죽으심의 사건과 다시 살아나심의 사건인 부활에 중심을 두기 때문입니다. 부활의 은혜를 경험하시기전 먼저 갈보리 언덕에 함께 오르시어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죽으심이 왜 복음이 되는가를 나누어 보기 원합니다.
들어가는 말: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연관되어 소개하는 속죄란 말의 출발점이 먼저 기타 세상의 모든 다른 종교와 구별되는 이유는 일반 세상의 종교는 "행하라(DO)"고 말하지만, 기독교는 이미 "이루어졌다 (DONE)!"라고 말하기 때문입니다.
I. 단어 "속죄"의 의미단어 "속죄(Atonement)"는 신약 로마서 5:11에 단 한 번 사용되었는데, 이 구절에서(그리스도의 완성된 사역을 단순히 죄를 덮었던 많은 구약의 속죄와 구별하기 위해)"그 속죄(The Atonement)" 라고 칭 합니다 - 출 30:10; 34:7; 히 10:1-4). 이 단어를 통하여 우리는 주(主) 및 구주(救主) 되시는 예수 그리스도의 전(全) 대속 사역을 가리키는데 사용합니다. 이는 기독교의 복음을 설명하기에 참 좋은 단어입니다. 왜냐하면 이 단어는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서 죽으셨을 때 그분이 성취하신 모든 결말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속죄를 일컫는 영어 "Atonement 이 단어는 두 개의 영어 단어가 합성된 것입니다. "AT ONE" "At-one ment" "Atonement"그리스도의 사역은 하나님과 사람을 하나(at one)로 만드는 것이 그 목적입니다.
Ⅱ. 하나님의 말씀속에 등장하는 속죄의 중요성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은 성경이 시작되면서 인간을 위한 구원의 선물로 예표되어 왔습니다.
A. 완전한 희생을 가리키는 구약의 예표들/ 특히 어린양을 통해- The Lamb of God) 1. 한 동물의 가죽 (양) 창세기 3:21 2. 이삭의 희생 - 창세기 22:8 3. 유월절 양 - 출애굽기 12:1-14 4. 레위지파의 희생물 - 레위기 1-5 장특별히 선택된 동물들이 희생됨으로 어떤 선택된 인간 누군가에게 큰 도움이 되고 이것이곧 성경이 말씀하는 구원을 의미하는 큰 그림으로 발전하게 되었는데 이것은 곧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하나님이 고안하신 탁월한 시청각교재의 완전한 모형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밖에 많은 다른 예표가 오실 그리스도의 사역을 예표하던 중 결정적으로 동물 희생 제사나 다른 곡식제사의 모형에서 오실 한사람의 모형에 초점을 모으게 됨을 볼 수 있습니다.
B. 구약의 많은 선지자들은 고난 당하시는 메시아에 관해 썼습니다. 시편 22:1-18; 이사야 53:4-8; 스가랴 12:10b; 13:6,7; 베드로전서 1:10,11이 구절들은 오셔서 고난을 당하심으로 메시야 사역을 성취하심을 보여줍니다.
C. 속죄는 또한 신약성경의 주요 주제로 등장합니다. 신약에는 "속죄"에 관한 175 절의 언급과. 44 구절마다 한 구절정도의 비율로 예수그리스도의 그가 구원하실 사람들을 위한 속죄를 언급해주고 있습니다. 1. 속죄는 바로 성육신 - 이 땅에 오신 예수그리스도의 목적과 이유입니다마가복음 10:45; 요한복음 12:27; 디모데전서 1:15; 히브리서 2:14; 10:5 2. 속죄는 바로 모든 그리스도인이 선포하는 복음의 중심입니다고린도전서 2:2; 15:1,3,4 3. 속죄는 우리가 영원히 거할 처소인 천국영광의 중심 주제입니다요한계시록 5:8-12
Ⅲ. 속죄의 관점에서 본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의 의미 그리스도의 구속의 죽음의 의미는 크게 나누어 5가지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1. 그리스도는 죄인된 우리의 형벌을 대속하시기 위해 죽으셨다는 말입니다 (대속의 죽으심 Substitution) 이사야 53:6
2. 그리스도는 죄인된 우리의 영원한 멸망의 상태에서 영원한 자유를 주시기 위해 죽으셨다는 말입니다 (구속의 죽으심 Redemption) “때가 차매 하나님이 그 아들을 보내사 여자에게서 나게 하시고 율법아래 나게 하신것은 율법아래 있는 자들을 속량하시고 우리로 아들의 명분을 얻게 하려 하심이라 (갈라디아서 4:4-5)
3.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거룩을 만족시키기 위해 죽으셨다는 말입니다. (하나님의 공의를 만족시키신 죽으심 Propitiation)하나님은 거룩하시며 하나님은 죄를 미워하십니다. 그리고 하나님의 거룩은 죄에 대한반드시 처벌을 요구하십니다. 하나님은 죄를 못 본체 하실 수 없습니다- 레위기 17:11; 히브리서 9:22
4.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사랑을 만족시켜 화목을 이루시기위해 죽으셨다는 말씀입니다. (화목적죽음 Reconciliation) 로마서 5:1하나님께서 인류를 위하여 베푸시는 하나님 자신의 성품 중에 우리는 하나님의 사랑의 성품을 말하지 않고는 결코 그분을 알 수 없을 것입니다.하나님께서는 반드시 범법자를 위하여 범법자와 함께 그 형벌을 해결하시기 위하여 누군가가 책임을 지고 나누셔야 합니다 (여기서 나누신다)는 것이 바로 하나님의 사랑을 말하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세상을 그처럼(SO) 사랑하사..." (요 3:16) 바로 그리스도의 속죄의 죽음으로 하나님께 직면한 큰 "딜레마"가 해결되어진 것입니다.
어떻게 하나님께서 죄인을 사랑하시면서 여전히 죄를 벌하실 수 있단 말입니까? 여기 바로 그리스도께서 그 해답이 되신 것입니다. 하늘과 땅 사이에서 십자가에 매달리어, 사람에게 배척 당하시고, 하나님께 버림 받으심으로 - 그리스도께서는 죄의 값을 전부(IN FULL) 지불하셨고, 그리하여 하나님의 모든 거룩한 요구를 만족시키시고 하나님으로 하여금 값없이 죄인을 구원하신 것입니다.
5. 그리스도는 하나님과 죄인된 우리의 화목을 이루기 위해 죽으셨다는 말씀입니다. 고후 5:18 모든것이 하나님께로 났나니 저가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우리를 자기와 화목하게 하시고"
Ⅳ. 예수 그리스도의 속죄에 관한 비성경적 견해들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의 본질에 관한 세상엔 많은 잘못된 견해들이 있습니다 - 그들 중 많은 것들이 죄로 가리워진 인간의 부패한 성품과 하나님의 거룩성에 대한 잘못된 견해로 말미암아 생겨난 것입니다.
A. "사고로 인한 죽음"설(우발설)
1. 이론의 설명 : 십자가는 그리스도의 인생에서 예측되지 않은 사고였으며, 예수는 원래 죽으려고 계획되지 않았다고 설명 시도 합니다. 그의 죽음은 우발적이요돌발적인 죽음이고 결코 원치 않은 죽음이 아니라는 이야기입니다.
2. 이론의 논박 :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항상 그분의 죽음을 알고 계셨습니다. 구약의 대언자들과 그리스도께서 친히 그것을 예언하셨고, 그분께서는 기꺼이 자신의 생명을내어놓으셨습니다. 속죄의 완성을 위해 역사의 때가 차서 오신 그분이 때가 차자 내 때가 가까웠다고 말씀하시며 유월절 어린양의 제물로 달리실 것을 알고 계셨던 그분은 누가 내 목숨을 빼앗는 자가 있는 것이 아니라 내가 스스로 버리노라말씀하신 것이 바로 그 이유입니다. 그것은 결코 우발적 죽음이나 자실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성부 하나님의 계획된 속죄의 완성을 위해 걸어가신 그분의 사역을 입증하시는 것입니다. 마태복음 16:21; 20:17-19; 요한복음 10:18
B. "순교자/실패자설"
1. 이론의 설명 : 그리스도는 "선한 이유"로 인하여 순교자로 죽었다는 말이요. 선한 동기로출발했지만 원래 십자가에서 죽으려 했던 것은 아니고 결국은 반대자들에 의해 뜻을 이루지 못하고 십자가에서 실패를 한 죽음이라는 말입니다. 특히 통일교 같은 데선 "누가 예수를 죽으러 왔다고 가르치는가"라고 그의 죽음의 실패성을 말합니다
2. 이론의 논박 : 성경 어디에도 이렇게 주장하는 곳은 없습니다. 성경은 명백하게 그분의 죽음을 대속적(redemptive)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순교자의 죽음도 결국 한 인간의 죽음에 불과합니다. 침례요한, 스테판, 야고보, 바울등은 그리스도인 순교자로 죽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다른 순교자들의 죽음과는 분명히 다른 죽음이셨습니다. 겟세마네에서 마지막 다가올 시간에 대한 큰 고뇌 가운데 보내셨습니다. 그리스도의 죽음에 대한 이러한 견해는 그분을 순교자로 만들지 모르나, 결코 영혼들을구원치 못할 것입니다.
C. "도덕적 영향"의 본(本)이라는 설(도덕적 감화설)
1. 이론의 설명 : 그리스도의 죽음이 사람에게 "도덕적 진보"를 낳는 영향을 끼쳤다고 말합니다. 그리스도의 완전한 순종과 고난의 본(本)은 추종하는 자들에 대하여 순종의 길을 계시할 뿐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부드럽게 하고, 사람이 개심하고, 회개하고, 보다 나은 상태를 열망하는 것을 도왔다고 말합니다. 이것은 소시니안이란 초기 기독 분파주의자들의 지지를 받았습니다.
2. 이론의 논박 : 이 이론은 그리스도의 모법적인 행위에 의해 고무됨으로 말미암는 구원을 가르칩니다. 이것은 한마디로 말하면 하나님의 은혜로 구원받기보다 도덕적인 성취의 가능성에 의한 구원을 말하는 것입니다. 그리스도의 본을 통해 많은 유대인은 과연 도덕적인 감화가 일어났습니까?- 그들이 십자가 위의 그리스도를 보았을 때, 그들의 마음은 전혀 부드러워지지 않았습니다.이 이론은 근본적으로 죄 문제에 대하여 답을 주지 못합니다. (베드로전서 2:21-24).
D. "하나님의 사랑"의 본이라는 설
1. 이론의 설명 : 달리 "도덕적 영향"설이나 "Exemplarist"설로 알려졌으며 Peter Abelard(1079-1142 A.D.) 의해 촉진되었습니다. 이 설은 단지 하나님께서 인류를얼마나 사랑했는지를 보여주기 위하여 그리스도께서 죽으셨다고 말합니다. 원래 그분의죽음은 필요하지 않았으며, 단지 그가 죽으심으로 감명적이 되었을 뿐이라는 말입니다.
2. 이론의 반박: 인간은 십자가에 달리심과 상관없이, 그리고 십자가에 달리심 이전에 하나님의 사랑을 알았습니다 - 신명기 7:7; 예레미야 31:3; 말라기 3:6, 등. 십자가가 하나님의 사랑의 표현인 반면에, 만약 십자가의 목적이 사람을 단지 감동 시키는 것 이라면, 그것은 또한 하나님의 극도의 잔혹성을 표현하는 것에 불과 할 수 있습니다. 주 : 위에서 "예"로 제시된 모든 이론들은 속죄를 사람(주격)과 관련시키며 하나님의 본성(목적격)을 만족시키는데 실패한 예에 불과할 뿐입니다.
E. "서서히 근절된 타락"설
1. 이론의 설명 : 예수님의 성육신시 그리스도 역시 다른 인간처럼 타락한 인간의 본성을 받았는데 십자가에서 다시 하나님과 결합될 때까지 서서히 정결케 되는 과정을 밟았다는 주장입니다. 그도 한 죄인인 (죄의 몸 안에서) 죄 없으신 삶을 통하여 그리스도는 자신의 인성을 신성한 수준으로 높이셨다는 말입니다.
2. 이론의 논박 : 성경은 그리스도께서 죄성이 없으시다고 분명히 말씀 하십니다.히브리서 7:26. 죄인은 다른 죄인을 구원하는 한계에 봉착합니다. 그리스도는 구원을 위한 흠 없고 완전한 제물로 오셨고 전혀 죄 없는 삶을 사셨습니다.
F. "몸값(ransom)"론(사탄 배상설)
1. 이론의 설명:
마가복음 10:45에 근거할 때, 이 이론은 그리스도의 죽음이 사탄에게 지불된 몸값이라고 설명합니다.
2. 이론의 반박 : 그리스도께서 몸값이었다는 것은 사실입니다. 그러나 성경은 그리스도께서 사탄에게 지불된 몸값이셨다고 가르치지 않습니다. 그분은 죄의 포로 됨에서 우리를 속량하심에 의미가 있는 것이며, 사탄에게 몸값을 치룬 것이 아니라하나님의 공의를 만족시키신 속죄에 분명한 성경의 가르침만이 대답입니다.